조아마시

쓸모 있는 상세페이지 만들기

웹개발/vuejs

Vue 3 및 Router 4 기초부터 상세 가이드

joamashi 2024. 7. 20. 20:21

Vue 3 소개

Vue 3는 프론트엔드 웹 개발을 위한 JavaScript 라이브러리입니다. 2020년 9월에 출시된 최신 버전은 TypeScript 지원, Composition API, Reactivity API 등 여러가지 개선 사항을 제공합니다. Vue 3는 가볍고 사용하기 쉽고, 배우기 쉬우면서도 강력하고 유연한 프레임워크로 평가받고 있습니다.

Vue Router 4 소개

Vue Router 4는 Vue 3와 함께 사용되는 공식 라우팅 라이브러리입니다. SPA(Single Page Application) 구축에 필수적인 기능을 제공하며, URL 변경에 따라 동적으로 뷰를 렌더링하고, 라우트 간 이동을 관리하는 역할을 합니다.

Vue 3 & Router 4 사용 장점

  • SPA 구축: 페이지 이동 없이 URL 변경만으로 뷰를 동적으로 전환하여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.
  • SEO 최적화: 라우트 변경 시에도 브라우저 히스토리를 유지하여 SEO에 도움을 줍니다.
  • ** 코드 분할:** 사용하지 않는 컴포넌트는 로드되지 않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.
  • 유연한 라우팅: 다양한 라우팅 방식을 지원하며, 라우트 파라미터, 쿼리 스트링, 와일드카드 등을 활용하여 다양한 URL 구조를 처리할 수 있습니다.
  • 간편한 네비게이션: router-link와 router-view 컴포넌트를 사용하여 쉽게 라우트 간 이동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.
  • 다양한 기능: 라우트 가드, 라우트 트랜지션, 네스티드 라우팅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합니다.

Vue 3 & Router 4 기본 사용법

  1. 설치:
    npm install vue vue-router
    
  2. 라우터 정의:
import { createRouter, createWebHistory } from 'vue-router'

const routes = [ { path: '/', component: Home }, { path: '/about', component: About }, { path: '/:id', component: Profile }, ]

const router = createRouter({ history: createWebHistory(), routes, })

export default router
import { createApp } from 'vue'
import router from './router'

const app = createApp({
  components: {
    App,
  },
})

app.use(router)

app.mount('#app')
  1. 컴포넌트에서 라우팅 사용:
    <template>
      <div>
        <h1>{{ user.name }}</h1>
        <p>{{ user.email }}</p>
      </div>
    </template>
    
    <script>
    export default {
      mounted() {
        const id = this.$route.params.id
        // 사용자 정보를 API로부터 가져옴
        this.getUser(id)
      },
    }
    </script>
    

Vue 3 & Router 4 주요 기능

  • 라우트 정의: createRouter 함수를 사용하여 라우트를 정의하고 경로, 컴포넌트, 가드, 트랜지션 등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.
  • 동적 라우팅: :id 와 같은 플레이스홀더를 사용하여 URL에 변수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.
  • 네스티드 라우팅: 서브 라우트를 사용하여 계층적 구조를 만들 수 있습니다.
  • 라우트 가드: 라우트에 대한 접근을 제어하거나 데이터를 로드하는 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.
  • 라우트 트랜지션: 페이지 전환 시 애니메이션 효과를 적용할 수 있습니다.
  • 글로벌 라우터 인스턴스: 어디서든 라우터 인스턴스에 접근하고 라우팅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.
 

Vue 3 및 Router 4 심화 가이드

1. Vue 3에서의 Router 4 사용

Vue 3에서 Router 4를 사용하는 방법은 기본적으로 Vue 2에서 사용하는 방법과 동일하지만, 몇 가지 주요 변경 사항이 있습니다.

  • createRouter 함수: 라우터 인스턴스를 생성하는 함수입니다. history 옵션으로 라우팅 모드를 설정하고, routes 옵션으로 라우트 구성을 정의합니다.
  • useRoute composable: 현재 라우트 정보에 접근하는 데 사용되는 composable입니다. $route 객체와 동일한 기능을 제공합니다.
  • useRouter composable: 라우터 인스턴스에 접근하고 라우팅 작업을 수행하는 데 사용되는 composable입니다. router 객체와 동일한 기능을 제공합니다.

예제:

import { createRouter, createWebHistory } from 'vue-router'
import { useRoute, useRouter } from 'vue'

const router = createRouter({
  history: createWebHistory(),
  routes: [
    { path: '/', component: Home },
    { path: '/about', component: About },
    { path: '/:id', component: Profile },
  ],
})

export default router

const App = () => {
  const router = useRouter()
  const route = useRoute()

  return (
    <div>
      <h1>{{ route.path }}</h1>
      <button @click={() => router.push('/about')}>About 페이지로 이동</button>
    </div>
  )
}

2. Router 4 주요 기능

라우트 정의:

  • createRoute: 라우트 정의를 위한 함수입니다. path, component, props, children 등의 옵션을 사용하여 라우트를 구성할 수 있습니다.
  • path: 라우트 경로를 지정합니다.
  • component: 라우트와 연결될 컴포넌트를 지정합니다.
  • props: 라우트 컴포넌트에 전달될 props를 지정합니다.
  • children: 네스티드 라우트를 정의합니다.

예제:

const routes = [
  {
    path: '/',
    component: Home,
    children: [
      { path: 'about', component: About },
      { path: 'profile/:id', component: Profile },
    ],
  },
  { path: '/login', component: Login },
  { path: '/:pathMatch(.*)', component: NotFound },
]

동적 라우팅:

  • :id 와 같은 플레이스홀더를 사용하여 URL에 변수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.
  • 플레이스홀더 값은 라우트 컴포넌트의 props 객체에 전달됩니다.

예제:

const routes = [
  { path: '/profile/:id', component: Profile },
]

const Profile = () => {
  const id = this.$route.params.id
  // 사용자 정보를 API로부터 가져옴
  this.getUser(id)
}

네스티드 라우팅:

  • 서브 라우트를 사용하여 계층적 구조를 만들 수 있습니다.
  • 부모 라우트의 경로에 서브 라우트 경로를 추가하여 정의합니다.

예제:

const routes = [
  {
    path: '/',
    component: Home,
    children: [
      { path: 'about', component: About },
      { path: 'profile/:id', component: Profile },
    ],
  },
]

Vue Router 4의 라우트 가드 심층 가이드

1. 라우트 가드 개요

라우트 가드는 Vue Router 4에서 제공하는 강력한 기능으로, 라우트 이동 과정에 다양한 작업을 수행하도록 해줍니다.

주요 용도는 다음과 같습니다.

  • 인증 및 권한 제어: 로그인 여부, 사용자 권한 등을 기반으로 특정 라우트への 접근을 제어할 수 있습니다.
  • 데이터 로딩: 라우트 이동 전에 필요한 데이터를 미리 로딩하여 페이지 로딩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.
  • 탐색 제어: 사용자가 특정 조건을 충족하지 않은 경우 다른 라우트로 리다이렉션하거나 탐색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.
  • 로그 기록 및 분석: 라우트 이동 이벤트를 기록하고 분석하여 사용자 행동 패턴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.

2. 라우트 가드 종류

Vue Router 4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종류의 라우트 가드를 제공합니다.

  • 전역 가드: 모든 라우트에 적용되는 가드입니다.
  • 라우트별 가드: 특정 라우트 또는 라우트 그룹에만 적용되는 가드입니다.
  • 컴포넌트 내부 가드: 특정 컴포넌트 내에서만 적용되는 가드입니다.

3. 라우트 가드 사용 방법

각 종류의 라우트 가드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.

전역 가드:

router.beforeEach((to, from, next) => {
  // ...
})
 

라우트별 가드:

const routes = [
  {
    path: '/profile/:id',
    component: Profile,
    beforeEnter: (to, from, next) => {
      // ...
    },
  },
]

컴포넌트 내부 가드:

export default {
  beforeRouteEnter(to, from, next) {
    // ...
  },
  beforeRouteLeave(to, from, next) {
    // ...
  },
}

4. 라우트 가드 실제 활용 예제

인증 및 권한 제어:

router.beforeEach((to, from, next) => {
  if (to.meta.requiresAuth && !auth.loggedIn) {
    next('/login')
  } else {
    next()
  }
})

데이터 로딩:

const Profile = () => {
  beforeRouteEnter(to, from, next) {
    const id = to.params.id
    // 사용자 정보를 API로부터 로딩
    this.loadUser(id)
  },
}
 

탐색 제어:

beforeRouteLeave(to, from, next) {
  if (this.hasUnsavedChanges) {
    const result = window.confirm('변경 사항을 저장하지 않고 이동하시겠습니까?')
    if (result) {
      next()
    } else {
      next(false) // 탐색 취소
    }
  } else {
    next()
  }
}

5. 라우트 가드 고급 활용법

  • 라우트 가드에서 비동기 작업 수행: next 함수를 비동기적으로 호출하여 비동기 작업이 완료된 후 탐색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.
  • 라우트 가드에서 메타 정보 사용: 라우트에 meta 속성을 추가하여 라우트별 정보를 전달하고 라우트 가드에서 활용할 수 있습니다.
  • 여러 라우트 가드 연결: 여러 라우트 가드를 순차적으로 연결하여 다단계 검사 및 처리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.

6. 라우트 가드 주의 사항

  • 라우트 가드 순서: 라우트 가드는 정의된 순서대로 실행됩니다. 순서에 따라 탐색 제어 및 처리 로직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, 신중하게 정의해야 합니다.
  • 네스티드 라우트와 라우트 가드: 네스티드 라우트 구조에서 부모 라우트와 자식 라우트에 모두 라우트 가드가 정의된 경우, 먼저 부모 라우트의 가드가 실행되고, 그 후 자식 라우트의 가드가 실행됩니다.

7. 라우트 가드 보완 기능

  • 라우터 인스턴스의 onError 메서드: 라우트 가드 실행 중 발생하는 에러를 처리하는 데 사용됩니다.
  • 라우터 인스턴스의 resolve 메서드: 라우트 가드에서 탐색을 강제로 진행하거나 취소하는 데 사용됩니다.

8. 실제 개발에서의 활용 사례

  • 로그인 및 회원가입 시스템: 사용자가 로그인하지 않은 경우 로그인 페이지로 이동하거나, 특정 권한이 없는 사용자가 접근하려는 페이지를 차단하는 등의 기능 구현에 활용
  • 게시판 시스템: 특정 게시판에 접근하기 전에 로그인 여부를 확인하거나, 게시판 작성 권한이 있는 사용자만 접근하도록 제어하는 데 활용
  • 쇼핑몰 시스템: 주문 결제 전에 로그인 여부 및 결제 정보를 확인하거나, 주문 완료 후 결제 페이지로 이동하는 데 활용
  • 데이터 관리 시스템: 특정 데이터에 접근하기 전에 사용자 권한을 확인하거나, 데이터 변경 시 변경 내용을 확인하는 데 활용

주의 사항: 라우트 가드는 강력한 기능이지만, 잘못 사용하면 성능 저하나 예상치 못한 동작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, 신중하게 사용해야 합니다.

Vue Router 4 심화 가이드: 라우팅, 네비게이션, 기능 활용

이전 답변에서 Vue Router 4의 기본 개념과 라우트 가드 기능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.

본 답변에서는 Vue Router 4의 다양한 라우팅 기능, 네비게이션 방법, 그리고 실제 개발에서 활용 가능한 기능들을 심층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.

1. 라우팅 구성 및 정의

라우트 구성:

  • createRouter 함수를 사용하여 라우터 인스턴스를 생성하고, routes 옵션으로 라우트 구성을 정의합니다.
  • 라우트는 객체 형태로 정의되며, path, component, props, children 등의 속성을 포함합니다.

예제:

const routes = [
  { path: '/', component: Home },
  { path: '/about', component: About },
  { path: '/profile/:id', component: Profile },
  { path: '/:pathMatch(.*)', component: NotFound },
]

const router = createRouter({
  history: createWebHistory(),
  routes,
})

라우트 종류:

  • 기본 라우트: / 경로와 연결되는 라우트입니다. 애플리케이션의 시작 화면 역할을 합니다.
  • 동적 라우트: :id 와 같은 플레이스홀더를 사용하여 URL에 변수를 포함하는 라우트입니다.
  • 네스티드 라우트: 서브 라우트를 사용하여 계층적 구조를 만드는 라우트입니다.
  • 리다이렉션 라우트: 특정 경로에 접근했을 때 다른 경로로 자동으로 이동하도록 설정하는 라우트입니다.
  • catch-all 라우트: 정의되지 않은 모든 경로에 대한 처리를 담당하는 라우트입니다.

라우트 속성:

  • path: 라우트 경로를 지정합니다.
  • component: 라우트와 연결될 컴포넌트를 지정합니다.
  • props: 라우트 컴포넌트에 전달될 props를 지정합니다.
  • children: 네스티드 라우트를 정의합니다.
  • meta: 라우트에 대한 추가 정보를 저장하는 객체입니다.
  • beforeEnter: 라우트에 진입하기 전에 실행되는 가드 함수입니다.
  • beforeResolve: 라우트 가드에서 처리가 완료된 후 실행되는 함수입니다.
  • afterEach: 라우트 이동이 완료된 후 실행되는 함수입니다.

2. 네비게이션 방법

라우터 인스턴스를 사용한 네비게이션:

router.push('/about') // 'about' 페이지로 이동
router.replace('/profile/123') // 'profile/123' 페이지로 이동 (기존 히스토리 기록 유지 X)
router.go(-1) // 이전 페이지로 이동
router.go(1) // 다음 페이지로 이동

router-link 컴포넌트를 사용한 네비게이션:

<router-link to="/about">About 페이지로 이동</router-link>

프로그래매틱 네비게이션:

this.$router.push({ path: '/profile/123', query: { id: 123 } })

네비게이션 가드를 사용한 네비게이션 제어:

beforeRouteLeave(to, from, next) {
  if (this.hasUnsavedChanges) {
    const result = window.confirm('변경 사항을 저장하지 않고 이동하시겠습니까?')
    if (result) {
      next()
    } else {
      next(false) // 탐색 취소
    }
  } else {
    next()
  }
}

Vue Router 4 주요 기능

1. 라우트 파라미터 및 쿼리 스트링

  • 라우트 파라미터:
    • URL에서 플레이스홀더 값을 추출하여 라우트 컴포넌트에 전달할 수 있습니다.
    • :id 와 같은 형식으로 플레이스홀더를 정의하고, 라우트 컴포넌트에서 this.$route.params 객체를 사용하여 파라미터 값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.
    • 예시: /profile/:id 라우트에서 this.$route.params.id 를 사용하여 사용자 ID를 얻을 수 있습니다.
  • 쿼리 스트링:
    • URL에 포함된 쿼리 정보를 파싱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.
    • ?key=value 형식으로 쿼리 파라미터를 정의하고, this.$route.query 객체를 사용하여 쿼리 값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.
    • 예시: /search?keyword=vue&page=1 라우트에서 this.$route.query.keyword 를 사용하여 검색 키워드를, this.$route.query.page 를 사용하여 현재 페이지 번호를 얻을 수 있습니다.

활용 사례:

  • 사용자 프로필 페이지 (/:id) 에서 사용자 ID를 기반으로 특정 사용자 정보를 표시합니다.
  • 검색 결과 페이지 (/search?keyword=vue&page=1) 에서 검색 키워드와 페이지 번호를 기반으로 검색 결과를 표시합니다.
  • 제품 목록 페이지 (/products?category=electronics&priceRange=100-200) 에서 카테고리와 가격 범위를 기반으로 제품 목록을 필터링합니다.

2. 스크롤 컨트롤

  • Vue Router 4는 라우트 이동 시 자동 스크롤 기능을 제공합니다.
  • 기본적으로 라우트 변경 시 최상단으로 스크롤됩니다.
  • scrollBehavior 옵션을 사용하여 스크롤 동작을 커스터마이징할 수 있습니다.

옵션:

  • scrollToTop: 라우트 변경 시 항상 최상단으로 스크롤합니다. (기본값)
  • smooth: 부드러운 스크롤 애니메이션을 적용합니다.
  • savePosition: 이전 라우트의 스크롤 위치를 저장하고, 다음 라우트로 돌아갈 때 해당 위치로 복원합니다.
  • { x: 0, y: 0 }: 특정 위치로 스크롤합니다.

활용 사례:

  • SPA(Single Page Application) 에서 페이지 이동 시 매번 최상단으로 이동하지 않고, 사용자의 스크롤 위치를 유지하여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킵니다.
  • 긴 페이지에서 특정 섹션으로 빠르게 이동할 수 있도록 스크롤링 기능을 제공합니다.
  • 여러 페이지로 나누어진 폼에서 사용자가 이전 페이지로 돌아갈 때 이전 스크롤 위치를 복원하여 편의성을 제공합니다.

3. 라우트 트랜지션

  • Vue Router 4는 라우트 이동 시 애니메이션 효과를 적용하는 라우트 트랜지션 기능을 제공합니다.
  • 기본적으로 fade-in 트랜지션이 적용됩니다.
  • transition 옵션을 사용하여 다양한 트랜지션 효과를 설정하고, 커스터마이징할 수 있습니다.

예제:

const routes = [
  {
    path: '/',
    component: Home,
    transition: 'slide-left',
  },
  {
    path: '/about',
    component: About,
    transition: 'slide-up',
  },
]

Vue Router 4의 라우트 트랜지션 심층 가이드

1. 라우트 트랜지션 개요

라우트 트랜지션은 Vue Router 4에서 제공하는 기능으로, 라우트 이동 시 애니메이션 효과를 적용하여 페이지 전환을 보다 매끄럽고 시각적으로 매력적으로 만들 수 있도록 합니다.

기본적으로 fade-in 트랜지션이 적용되지만, 다양한 내장 트랜지션을 사용하거나 직접 커스터마이징된 트랜지션을 만들 수 있습니다.

2. 라우트 트랜지션 종류

Vue Router 4는 다음과 같은 기본 트랜지션을 제공합니다.

  • fade-in: 이전 뷰가 사라지고 새 뷰가 점차 나타나는 효과입니다.
  • fade-out: 새 뷰가 나타나면서 이전 뷰가 점차 사라지는 효과입니다.
  • slide-left: 새 뷰가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이전 뷰가 사라지는 효과입니다.
  • slide-right: 새 뷰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이전 뷰가 사라지는 효과입니다.
  • slide-up: 새 뷰가 아래에서 위로 슬라이딩되면서 이전 뷰가 사라지는 효과입니다.
  • slide-down: 새 뷰가 위에서 아래로 슬라이딩되면서 이전 뷰가 사라지는 효과입니다.

이 외에도 css 또는 JavaScript를 사용하여 직접 커스터마이징된 트랜지션을 만들 수 있습니다.

3. 라우트 트랜지션 설정

라우트 트랜지션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.

  • 라우트별 트랜지션 설정:
    const routes = [
      { path: '/', component: Home, transition: 'slide-left' },
      { path: '/about', component: About, transition: 'slide-up' },
    ]
    
  • 컴포넌트 내 트랜지션 설정:
    <router-view :transition="'slide-down'"></router-view>
    
  • 글로벌 트랜지션 설정:
    router.beforeEach((to, from, next) => {
      if (to.meta.transition) {
        next({ ...to, transition: to.meta.transition })
      } else {
        next()
      }
    })
    

옵션:

  • name: 트랜지션 이름 (기본값: default)
  • mode: 'in-out', 'in-only', 'out-only' 중 하나를 선택하여 트랜지션 적용 방식을 설정합니다.
  • css: 직접 CSS 코드를 사용하여 트랜지션을 정의합니다.
  • component: 트랜지션 컴포넌트를 사용하여 트랜지션을 정의합니다.

4. 라우트 트랜지션 고급 사용법

  • CSS 트랜지션 사용:
    .router-view-enter-active {
      animation: slide-in 0.5s ease-in-out;
    }
    
    .router-view-leave-active {
      animation: slide-out 0.5s ease-in-out;
    }
    
    @keyframes slide-in {
      from {
        opacity: 0;
        transform: translateX(-100%);
      }
      to {
        opacity: 1;
        transform: translateX(0);
      }
    }
    
    @keyframes slide-out {
      from {
        opacity: 1;
        transform: translateX(0);
      }
      to {
        opacity: 0;
        transform: translateX(100%);
      }
    }
    

5. 라우트 트랜지션 고급 사용법

  • CSS 트랜지션 사용 (계속):
    /* 여러 트랜지션 동시 사용 */
    .router-view-enter-active {
      animation: slide-in 0.5s ease-in-out, fade-in 0.3s ease-in-out;
    }
    
    /* 애니메이션 지연 및 타이밍 조정 */
    .router-view-leave-active {
      animation-delay: 0.2s;
      animation-duration: 0.7s;
    }
    
  • JavaScript 트랜지션 사용:
    const MyTransition = {
      mounted() {
        // 애니메이션 시작 시 실행되는 코드
        this.el.style.opacity = 0;
        this.el.style.transform = 'translateX(-100%)';
      },
      beforeEnter(el) {
        // 새 뷰가 들어오기 전에 실행되는 코드
        el.style.opacity = 0;
        el.style.transform = 'translateX(-100%)';
      },
      enter(el, done) {
        // 새 뷰가 들어온 후 실행되는 코드 (애니메이션 실행)
        gsap.to(el, { opacity: 1, transform: 'translateX(0)', duration: 0.5, ease: 'Power2.easeIn', onComplete: done });
      },
      beforeLeave(el) {
        // 이전 뷰가 나가기 전에 실행되는 코드
        // ...
      },
      leave(el, done) {
        // 이전 뷰가 나간 후 실행되는 코드 (애니메이션 실행)
        gsap.to(el, { opacity: 0, transform: 'translateX(100%)', duration: 0.5, ease: 'Power2.easeOut', onComplete: done });
      },
    };
    
    const routes = [
      { path: '/', component: Home, transition: MyTransition },
      // ...
    ];
    
  • 동적 트랜지션 설정:
    const routes = [
      {
        path: '/',
        component: Home,
        transition: (to, from) => {
          if (to.path === '/about') {
            return 'slide-right';
          } else if (to.path === '/profile') {
            return 'slide-up';
          } else {
            return 'fade-in';
          }
        },
      },
      // ...
    ];
    
  • 전역 트랜지션 사용:
    router.beforeEach((to, from, next) => {
      const transitionName = to.meta.transition || 'default';
      const transitionOptions = {
        css: /* 직접 CSS 코드를 사용하여 트랜지션 정의 */,
        component: /* 트랜지션 컴포넌트 사용 */,
        // ...
      };
      next({ ...to, transition: { name: transitionName, options: transitionOptions } });
    });
    

6. 라우트 트랜지션 활용 사례

  • 페이지 전환 시 시각적 효과를 사용하여 사용자에게 더욱 매력적이고 매끄러운 경험을 제공합니다.
  • 애니메이션을 사용하여 페이지 로딩 시간을 감추거나, 로딩 과정을 더욱 자연스럽게 보이도록 연출합니다.
  • 다양한 트랜지션을 사용하여 페이지 간의 관계나 이동 방향을 명확하게 보여줍니다.
  •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트랜지션을 동적으로 변경하여 사용자 경험을 개선합니다.
  • 브랜드 이미지나 디자인 가이드라인에 맞는 트랜지션을 사용하여 브랜드 일관성을 유지합니다.
 

Vue Router 4 라우트 트랜지션 주의 사항 및 고려 사항

1. 성능 영향

라우트 트랜지션은 애니메이션 효과를 사용하기 때문에, 과도하게 사용하거나 복잡한 애니메이션을 사용하면 페이지 로딩 속도가 느려지거나 성능 저하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.

따라서,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성능을 최적화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고려해야 합니다.

  • 필요한 경우에만 트랜지션을 사용합니다. 모든 페이지 전환에 트랜지션을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, 주요 페이지 또는 중요한 이동 경로에만 적용하는 것이 좋습니다.
  • 가볍고 효율적인 애니메이션을 사용합니다. CSS 애니메이션이나 JavaScript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가볍고 부드러운 애니메이션을 만드는 것이 좋습니다.
  • 브라우저 호환성을 고려합니다. 모든 브라우저에서 동일하게 동작하도록 애니메이션을 최적화해야 합니다.
  • 성능 테스트를 수행합니다. 실제 사용자 환경에서 라우트 트랜지션이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테스트하고, 필요한 경우 개선해야 합니다.

2. 접근성 고려

라우트 트랜지션은 시각적인 효과를 제공하지만, 모든 사용자가 동일하게 인식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.

따라서, 웹 접근성을 고려하여 다음과 같은 지침을 준수해야 합니다.

  • 스크린 리더 사용자를 위한 대체 텍스트를 제공합니다. 애니메이션 요소에 적절한 대체 텍스트를 제공하여 스크린 리더 사용자가 페이지 내용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.
  • 발작을 유발할 수 있는 깜박임이나 격렬한 애니메이션을 피합니다. 일부 사용자는 특정 유형의 애니메이션에 민감할 수 있으므로, 발작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는 요소는 사용하지 않도록 합니다.
  • 충분한 명암비를 유지하고, 텍스트가 애니메이션 요소에 의해 가려지지 않도록 합니다. 사용자가 텍스트를 쉽게 읽을 수 있도록 충분한 명암비를 유지하고, 텍스트가 애니메이션 요소에 의해 가려지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.
  • 키보드 네비게이션을 지원합니다. 사용자가 키보드만으로도 페이지를 탐색할 수 있도록 키보드 네비게이션을 지원해야 합니다.

3. 브라우저 호환성

다양한 브라우저에서 라우트 트랜지션이 동일하게 동작하도록 하려면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고려해야 합니다.

  • CSS 애니메이션 및 변환 속성을 사용합니다. 대부분의 브라우저에서 CSS 애니메이션 및 변환 속성을 지원하므로, 이를 사용하여 트랜지션을 만드는 것이 좋습니다.
  • 브라우저별 접두사를 고려합니다. 일부 브라우저는 CSS 속성에 대한 접두사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, 필요한 경우 브라우저별 접두사를 추가해야 합니다.
  • JavaScript 라이브러리 사용 시 주의합니다. JavaScript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트랜지션을 만들 경우, 해당 라이브러리가 모든 브라우저에서 호환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.
  • 테스트를 통해 호환성을 확인합니다. 실제 브라우저에서 라우트 트랜지션이 동작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테스트를 수행해야 합니다.
728x90